2025 동시대 미술의 현장 기후 위기 특별전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
2025. 07. 24. ~ 2025. 10. 26.
경기도미술관 전시실 1,2,4, 지면층 내외부

경기문화재단 경기도미술관(관장 전승보)은 ‘2025 동시대 미술의 현장’의 일환으로 기후 위기 특별전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를 7월 24일부터 10월 26일까지 진행 중이다.
이번 전시는 시인 김형영(1944~2021)의 동명의 시에서 영감을 받아, 인간이 초래하는 기후 재난의 회복을 ‘자연의 시선’에서 바라본다.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는 해와 달, 바람과 파도, 대지와 바다, 나무와 강처럼 영속적으로 순환하는 자연에 비해, 인간은 그저 잠시 스쳐가는 존재일지도 모른다는 인식을 바탕으로 기획되었다. 이 전시는 지구 온난화와 기후 위기라는 대변동의 시대에 공감하며, 바닷모래와 바람, 강과 나무, 인간과 인공 환경이 나누는 대화에 귀 기울인다.
참여 작가들은 화석연료 고갈과 지구 온난화 문제 해결을 위한 대안으로 주목받는 재생에너지와 관련된 주제를 간접적이고 은유적인 방식으로 풀어낸다.
흙, 공기, 물은 예나 지금이나 생명을 구성하는 핵심 요소이다. 그렇다면 과학 중심의 현대 세계관 속에서, 우리는 왜 여전히 이러한 모호함을 이야기해야 할까?
이번 전시는 빠르게 다가오는 미래를 예민하게 감각하고, 천천히 조응할 수 있는 순간을 예술을 통해 제안한다. 기후 위기는 지구상의 모든 생명체가 직면한 공통의 문제이자, 우리가 전 생애를 통해 지속적으로 고민해야 할 과제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예술은 현실의 문제를 새롭게 인식하고, 실천을 이끄는 출발점이 될 수 있다. 이 전시는 강한 메시지를 외치는 수단이 아니라, 예술을 매개로 자연의 웅장함과 섬세함을 마주하고, 그 앞에서 경외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기다림이 끝나는 날에도》가 기후 위기에 대해 꾸준히 이야기하고자 하는 마음의 변화로 이어지기를, 더 나아가 인간 존재와 죽음에 대한 근원적 성찰로까지 이어지기를 바란다.
- 상시 프로그램
‘기후 위기 책갈피’
장소: 전시실 4 내 북 큐레이션 공간
내용: FSC인증 모사지를 이용한 북마크 만들기
‘관객 참여형 몰입 사운드스케이프’
일시: 전시 기간 중 매일(화~일), 오전 11시
장소: 화랑호수 일대(만남 장소: 1층 라운지)
내용: 도슨트와 함께 하는 <늪의 노래> 관객 참여형 몰입 사운드스케이프
- 전시 연계 오픈 특강 및 영화 상영
오픈 특강 ‘기후위기, 문 앞에 마주한 질문들’
일시 |
내용 |
2025년 8월 9일(토) 오후 1시 30분~3시 |
기후위기와 순환경제, 홍수열(자원순환사회경제연구소 소장) |
8월 30일(토) 오후 1시 30분~3시 |
에너지 전환, 생각의 전환, 김선교(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박사) |
9월 20일(토) 오후 1시 30분~3시 |
기후위기 시대, 우리는 무엇을 잃고 있는가, 구상모(KBS PD) |
영화 상영 ‘오늘, 우리가 마주한 지구’
2025년 8월 30일(토) 오후 3시 30분~5시 30분
히어 나우 프로젝트(2024) 관람 후 참여 작가 박선민, 이채원과 함께하는 관객과의 대화 진행
- 참여 작가 워크숍
박선민 <늪의 노래> 관객 참여형 몰입 사운드스케이프
2025년 8월 24일, 9월 21일, 10월 12일(일) 오전 11시(소요 시간: 약 30분)
장소: 화랑호수 일대
이지연 <잿소리> 전시 철수 워크숍
2025년 10월 24일(금)~25일(토) 오후 2시
장소: 경기도미술관 1층
폐도자기 협찬: 성엽자기
- 이벤트
"기후위기 특별전 관람평 및 기후행동 실천 다짐"
미술관 내 비치된 배너의 QR코드를 확인해주세요!
대니 멜러, <암흑별 폭포>, 2025, 2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5:10, 작가 제공

대니 멜러, <암흑별 폭포>, 2025, 2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25:10, 작가 제공
올라퍼 엘리아슨, Methane matter, 2019, 종이에 수채, 인디언 잉크, 231.6ⅹ155ⅹ8㎝, PKM갤러리 소장

올라퍼 엘리아슨, Methane matter, 2019, 종이에 수채, 인디언 잉크, 231.6ⅹ155ⅹ8㎝, PKM갤러리 소장
박형렬 <형상 연구_땅#59(1,2,3)>, 2016, 잉크젯 프린트, 각 150ⅹ120㎝(3점), 작가 소장 <형상 연구_땅#58(8,3,4,1)>, 2016, 잉크젯 프린트, 각 150 x 100㎝(4점), 작가 소장 박형렬, <형상 연구_땅#41>, 2014, 잉크젯 프린트, 144 x 180㎝, 뮤지엄한미 소장

박형렬 <형상 연구_땅#59(1,2,3)>, 2016, 잉크젯 프린트, 각 150ⅹ120㎝(3점), 작가 소장 <형상 연구_땅#58(8,3,4,1)>, 2016, 잉크젯 프린트, 각 150 x 100㎝(4점), 작가 소장 박형렬, <형상 연구_땅#41>, 2014, 잉크젯 프린트, 144 x 180㎝, 뮤지엄한미 소장
우주 + 림희영, Song from Plastic, 2022, 폐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스틸, 철, 모터, 전자장치, 음향장치, 인체 감지센서, 에나멜 도색, 가변설치 (기계장치 220 x 140 x 180cm), 작가 소장

우주 + 림희영, Song from Plastic, 2022, 폐플라스틱, 스테인레스 스틸, 철, 모터, 전자장치, 음향장치, 인체 감지센서, 에나멜 도색, 가변설치 (기계장치 220 x 140 x 180cm), 작가 소장
최가영, <세르비아의 산>, 2020, 수묵에 담채, 262 x 262cm, 작가 소장 <채석장-Marjia Curk로부터>, 2020, 캔버스에 아크릴, 50 x 50cm, 작가 소장

최가영, <세르비아의 산>, 2020, 수묵에 담채, 262 x 262cm, 작가 소장 <채석장-Marjia Curk로부터>, 2020, 캔버스에 아크릴, 50 x 50cm, 작가 소장
아담 보이드, <팰리세이드>, 2024, 복합 매체(폴리에스터, PVC, 태피터, 면, 충전재와 실 소재 등을 이용해 자수 및 퀼팅 처리된 UV 프린트), 161ⅹ159㎝, 디스위켄드룸 소장

아담 보이드, <팰리세이드>, 2024, 복합 매체(폴리에스터, PVC, 태피터, 면, 충전재와 실 소재 등을 이용해 자수 및 퀼팅 처리된 UV 프린트), 161ⅹ159㎝, 디스위켄드룸 소장
박예림, Mei, 2023, 한지에 유채, 안료, 폴리머 클레이, 자작나무, 248 x 81 x 5cm, 작가 소장

박예림, Mei, 2023, 한지에 유채, 안료, 폴리머 클레이, 자작나무, 248 x 81 x 5cm, 작가 소장
정소영, <뉴홈>, 2021, 신발 오브제, 25 x 10 x 8cm, 작가 소장 <굴러온 길>, 2023, 철에 분채 도장, 수집물, 1. 190×160×17㎝ 2. 120×149×15㎝ 3.190×60×13×13㎝ 4.120×100×15㎝ 5. 160×60×15㎝ 6-8.100×40×10㎝ (3 pieces), 작가 소장

정소영, <뉴홈>, 2021, 신발 오브제, 25 x 10 x 8cm, 작가 소장 <굴러온 길>, 2023, 철에 분채 도장, 수집물, 1. 190×160×17㎝ 2. 120×149×15㎝ 3.190×60×13×13㎝ 4.120×100×15㎝ 5. 160×60×15㎝ 6-8.100×40×10㎝ (3 pieces), 작가 소장
임희재, <박제_영양>, 2022, 캔버스에 유채, 162.2m x 336.3cm, 작가 소장

임희재, <박제_영양>, 2022, 캔버스에 유채, 162.2m x 336.3cm, 작가 소장
오다교 <반영 I >, 2022, 마대에 모래, 숯, 안료, 194 x 131cm, 작가 소장 <반영 II >, 2023, 마대에 모래, 숯, 안료, 194 x 131cm, 작가 소장 <경기도 안산시>, 2025, 나무판넬에 흙, 모래, 안료, 181 x 227cm,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오다교 <반영 I >, 2022, 마대에 모래, 숯, 안료, 194 x 131cm, 작가 소장 <반영 II >, 2023, 마대에 모래, 숯, 안료, 194 x 131cm, 작가 소장 <경기도 안산시>, 2025, 나무판넬에 흙, 모래, 안료, 181 x 227cm,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더그 에이트킨, <수중 파빌리온>, 2017,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6:53,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더그 에이트킨, <수중 파빌리온>, 2017,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6:53, 국립현대미술관 제공
아카이브룸 전경 이미지

아카이브룸 전경 이미지
북큐레이션 공간 전경 이미지

북큐레이션 공간 전경 이미지
카롤리나 카이세도, <이것은 물이 아니다>, 2015,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5:25, 작가 제공

카롤리나 카이세도, <이것은 물이 아니다>, 2015, 싱글채널 비디오, 컬러, 사운드, 5:25, 작가 제공
장진승, <에어로스트라다>(버전. 0), 2025, 기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가변설치,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장진승, <에어로스트라다>(버전. 0), 2025, 기후 예측 시뮬레이션 모델, 가변설치,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김민정, <Mountain>, 2022, 120x159cm, 한지에 유채, 수채, 갤러리현대 소장 <Red Mountain>, 2022, 166x136cm, 한지에 유채, 수채, 갤러리현대 소장 <Nautilus>, 2023, 183x130cm, 한지에 혼합 매체, 갤러리현대 소장 <The Street>, 2016, 132x190cm, 한지에 혼합 매체, 갤러리현대 소장

김민정,
이지연, <잿소리>, 2025, 구운연탄 200장, 스테인레스 수조, 수중모터, 유리수조, 실리콘노즐, 가변 설치,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이지연, <잿소리>, 2025, 구운연탄 200장, 스테인레스 수조, 수중모터, 유리수조, 실리콘노즐, 가변 설치,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박선민, <늪의 노래 - 사운드 드리프팅>, 2025, 관객참여형 몰입 사운드스케이프, 26:21, 경기도미술관 커미션

박선민, <늪의 노래 - 사운드 드리프팅>, 2025, 관객참여형 몰입 사운드스케이프, 26:21, 경기도미술관 커미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