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클럽
2023 경기도미술관 수요클럽
2023. 06. 28. ~ 2023. 07. 19.

경기도미술관에서 운영하는 경기도미술관 수요클럽은 예술을 사랑하는 분들께 폭넓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현대미술 강좌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미술관의 새로운 정의를 비롯하여 팬데믹 시대를 통과하며 변화를 추구하고자 하는 미술관의 미래를 상상해보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다양한 미술관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이러한 토대 위에서 향후 미술관은 어떤 즐거움을 관람객에게 선사할 수 있는지 전망해보고자 합니다.
자세한 강의 내용 및 모집 일정은 아래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교육내용 및 일정
일정 |
제목(예정) |
강사(예정) |
6.28(수) 16:00~18:00 |
새로운 미술관의 정의 - ICOM 정의를 기준으로 변화하는 패러다임 - |
한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
7.5(수) 16:00~18:00 |
전시 관람객 연구 국내미술관의 다양한 사례를 중심으로- |
양지연 (동덕여자대학교 큐레이터학과 교수) |
7.12(수) 16:00~18:00 ZOOM |
미술관의 다양한 기능과 역할 살피기 미술관의 존재 이유 - |
리아넌 메이슨 (영국 뉴캐슬대학교 문화유산 및 문화학과 교수/ 예술문화대학 학장) (Rhiannon Mason, (Professor of Newcastle University/ Heritage and Cultural Studies |
7.19(수) 16:00~18:00 |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하여 사회예술학 개념을 중심으로 - |
김혜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 문화예술정책연구실장) |
※ 7.12 강의를 제외한 모든 강의는 대면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 7.12 강의는 영어→한국어 순차 통역으로 진행될 예정입니다.
※ 위 강의 일정은 미술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강사소개
한주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현대미술사를 공부하고 서울대학교 대학원에서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를 거쳐 2002년부터 삼성문화재단의 미술관에서 근무하며 20년 넘게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했고 스미소니언 박물관학 연구소 펠로우를 지냈다. 현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이자 한국박물관교육학회 국외협력위원회 위원장을 맡으면서 미술관 교육의 국제적 활동과 교류에 관심을 가지고 활동 중이다.
양지연
서울대학교에서 동양화를 전공하고 플로리다주립대학에서 국립미술관의 교육적 역할을 주제로 예술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덕여자대학교 예술대학 큐레이터학전공 교수이며, 예술경영, 박물관학 분야의 연구와 교육, 대외 활동을 하고 있다. 현재 서울시립미술관과 경기도미술관, 국립한글박물관의 운영자문위원, 경기문화재단 ESG경영 추진위원, (사)한국예술경영학회 회장 등을 맡고 있다. 주요 연구 분야는 전시와 교육, 미술관 경영 및 정책이다.
리아넌 메이슨(Rhiannon Mason)
영국 뉴캐슬 대학교 문화유산 및 문화학과(Heritage and Cultural Studies) 의 교수이자 예술문화대학 학장이다. 인류의 역사와 문화, 정체성을 담고 있는 문화유산과 기념관의 역할을 주로 연구하고 있다.
김혜인
미국 플로리다 주립대학에서 예술경영 및 행정 박사학위를 취득한 후, 현재 문체부 국책연구기관인 한국문화관광연구원에서 예술정책연구실장을 맡고 있다. 등재지 예술경영연구 수석편집위원장으로 활동하고 있고, 문체부, 행안부, 서울시 등의 각종 평가위원 및 자문위원 등으로 활동하고 있다. 딱딱해보일 수 있는 정책과 연구를 다루고 있지만, 알고보면 오랜기간 미술을 전공하고 미술관에서 경험을 쌓은 바 있고, 다양한 저서와 논문을 발표하는 중에 현장에서의 즐거운 활동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생기기를 호시탐탐 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