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 경기도미술관 수요클럽
2024. 06. 26. ~ 2024. 09. 24.

경기도미술관에서 운영하는 경기도미술관 수요클럽은 예술을 사랑하는 분들께 폭넓은 문화 향유의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현대미술 강좌입니다. 이번 강좌에서는 미술관이 공동체와 개인의 다양성을 어떤 방식으로 포용하는지에 대한 고민을 비롯하여 팬데믹 시대를 통과하고 엔데믹으로 다시 변화를 추구하는 미술관의 미래를 상상해보는 시간을 마련하고자 합니다. 아울러 다양한 미술관의 기능과 역할을 살펴보고 이러한 토대 위에서 향후 미술관은 어떤 즐거움을 관람객에게 선사할 수 있는지 전망해보고자 합니다.
자세한 강의 내용 및 모집 일정은 아래를 참고하여 주시기 바라며, 여러분의 많은 참여와 성원 부탁드립니다.
교육내용 및 일정
일정 |
제목(예정) |
강사(예정) |
6.26(수) 16:00~18:00 |
한국에서의 뮤지엄과 사회 포용 |
전영웅 (용인대학교 교양교육원 교수) |
7.10(수) 16:00~18:00 |
미술관의 문화 다양성 사례 연구 코로나 이후 새롭게 보는 미술관의 다양성과 포용성 - |
박신의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 |
7.17(수) 16:00~18:00 |
미술관의 스토리텔링과 해석 |
한주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겸임교수) |
7.31(수) 16:00~18:00 |
문화다양성의 상징공간으로서의 동시대미술관 |
임근혜 (아르코미술관 관장) |
※ 위 강의 일정은 미술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강사소개
전영웅
‘문화 조직(박물관·미술관)에서의 전략 지향과 혁신 및 성과의 관계’로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1992년에 문화체육관광부에 입사하여 27년간 재직했다. 퇴직 후 박물관과 미술관, 공공미술 분야에 관해 용인대, 강원대에서 강의하고 있다. 뮤지엄에서의 사회 포용에 관심이 많다.
박신의
박신의는 2000년부터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문화예술경영학과 교수를 역임하고, 2023년부터 고황명예교수로 재직 중이다. 2001년부터 현재까지 경희대학교 문화예술경영연구소 소장으로 활동중이다. 제1기 한국문화예술위원,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이사장 등을 역임했다. 주요 연구주제는 박물관미술관경영, 문화정책, 예술의 사회적 영향 연구, 예술기업가정신, 예술의 기술융합 등이다.
한주연
이화여자대학교에서 현대미술사 석사, 서울대학교 미술교육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아트선재센터 큐레이터를 거쳐 삼성문화재단의 리움미술관과 호암미술관에서 20년 동안 에듀케이터로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운영했다. 스미소니언 박물관학 연구소 펠로우였고, 현재는 삼성문화재단 헤리티지팀장이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에서 미술관 교육자를 양성하면서 미술관 해석 정책을 연구 중이다.
임근혜
한국과 영국에서 예술학, 큐레이터쉽, 미술관학을 전공하고 서울시립미술관 전시과장(2013–17)과 국립현대미술관 전시2팀장(2017–19)을 거쳐, 현재 아르코미술관 관장으로 재직 중이다. 동시대 미술과 제도의 역학 및 미술관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주제로 꾸준히 연구와 강의·저술을 하고 있으며, 저서로는 <창조의 제국: 영국현대미술의 센세이션 그리고 그후>(개정증보판, 2019)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