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미술관, 문화자원봉사자, 교육
2025 경기도미술관 문화자원봉사자 모집 및 교육
2025. 08. 06. ~ 2025. 10. 01.

2025 경기도미술관 문화자원봉사자 모집 및 교육
경기도미술관에서는 ⟪2025 문화자원봉사자 양성 교육⟫에 참여할 교육생을 모집합니다.
현대미술과 미술관 전시해설에 관심 있는 분들을 대상으로 전문 도슨트(전시해설사) 양성을 위한 교육을 실시하며, 교육 수료 및 심사 과정을 거친 최종 선발자에게는 ‘2025 경기도미술관 문화자원봉사자 자격증명서’를 수여하고 경기도미술관 자원봉사자로 활동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합니다. 관람객과의 소통을 통해 현대미술을 함께 나누고 싶은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참여를 바랍니다.
○ 교육 안내 · 대상 : 만 20세 이상 성인으로 다음 조건을 충족하는 분
1. 현대미술에 관심이 있는 분
2. 연중 도슨트 활동(최소 주 1회)이 가능한 분
· 신청기간 : 2025년 7월 7일(월) ~ 7월 25일(금) 24:00까지
· 신청방법 : 경기도미술관 홈페이지 공고 내 신청서 및 개인정보 수집 이용 동의서를 다운로드 후 작성하여 kihyunna@ggcf.or.kr로 이메일 제출 (※ 파일 제목에 신청자 이름 표기 필수, 예: 2025_문화자원봉사자_홍길동.pdf)
· 교육일정: 2025년 8월 6일(수) ~ 10월 1일(수), 매주 수요일 오후 3시~5시
· 강의장소: 경기도미술관 1층 강당
· 교육인원: 40명 내외
· 교육 주제 및 선발 일정
회차 | 일시 | 구분 | 주제(안) | 강사(안) |
1 | 08월 06일 | 도입 | 경기도미술관 관장님 인사말 | 전승보 경기도미술관장 |
오리엔테이션 및 자료집 배부 |
유채린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
|||
경기도미술관 소개 |
박상애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팀장 |
|||
2 | 08월 13일 | 미술관 분석 | 미술관이라는 다면체 |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디지털문화정책학과 교수 |
3 | 08월 20일 | 미술사 이해 | 한국 동시대 미술의 시원과 미술 생태계의 변화 |
기혜경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
4 | 08월 27일 | 현대미술의 흐름 |
장선희 홍익대학교 연구교수 |
|
5 | 09월 03일 | 주제 연구 | 영상미디어 작품의 문화사회적 시간성 |
이민아 서서울미술관 학예연구사 |
6 | 09월 10일 | 보이지 않는 대상을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 —느린 재난에 감응하는 점선 연결하기 |
김신재 큐레이터/프로듀서 |
|
7 | 09월 17일 | 실무 교육 | 전시의 가치를 배우고 깨닫고 소통하기 |
채영옥 프레젠스 대표 |
8 | 09월 24일 | 우리가 악(ARGH!)으로 만나는 것들 * 몸-워크숍 | 흑표범 작가 | |
9 | 10월 01일 | 누구를 위한 접근성인가? |
백기영 모두미술공간 전시운영부장 |
|
10 | 10월 15일 | 필드 트립 | 경기창작캠퍼스 필드 트립 | |
- | 10월 10일- 10월 16일 | 선발 과정 | 도슨트 스크립트 제출 및 심사 | |
10월 17일- 10월 28일 | 도슨트 시연 및 면접 심사 | |||
10월 29일 | 마무리 | 자격증명서 수여 |
전승보 경기도미술관장 |
|
활동 안내 |
유채린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사 |
※ 위 강의 일정은 미술관 사정에 따라 변동될 수 있습니다.
박소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IT정책전문대학원 디지털문화정책전공 교수. 미술사학연구회 회장. 예술제도와 예술실천 사이에서 발생하는 문화정치에 관심을 갖고 근현대미술사, 박물관학, 예술경영, 문화예술정책의 경계를 넘나드는 연구를 하고 있다. 『김대중의 문화정치』(2024), 『이것 역시 지도』(2023), 『이불-시작』(2021), 『미술관은 무엇을 움직이는가-미술과 민주주의』(2020), 『키워드로 읽는 한국 현대미술』(2019), 『큐레이팅을 말하다』(2019), 『레드 아시아 콤플렉스』(2019), 『모두의 학교: 더 빌리지 프로젝트』(2016), 『동아시아 미술의 근대와 근대성』(2009) 등을 함께 썼고, 『모나리자 훔치기』(2010), 『고뇌의 원근법』(2009) 등을 번역했다.「신자유주의적 전환 이후, 미술관과 커뮤니티의 관계설정 및 그 난점」(2024), 「Lee Ufan's ambivalent otherness and art historiography」(2023), 「권진규의 조각, 마네킹, 영화미술」(2022), 「무라카미 타카시의 미술계 구조개혁」(2022),「평등한 박물관은 어떻게 가능한가: 접근권의 평등과 '비-관람객'/'배제된 자들'의 목소리를 중심으로」(2021), 「구글 아트 앤 컬처(Google Arts & Culture)의 '비영리' 전략에 대한 비판적 고찰」(2021), 「김홍희의 페미니즘/포스트모더니즘 미술사론과 이불의 역사적 위상」(2020) 등 다수의 논문을 발표했다.
기혜경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술사학과에서 한국 근현대미술사로 석사와 박사를 마쳤다. 국립현대미술관 큐레이터를 거쳐, 북서울미술관 총괄, 부산시립미술관 관장을 거쳐 현재는 홍익대학교 예술기획과 및 미술사학과에서 후학을 양성중이다. 동시대 미술현장에서의 경험과 고민을 바탕으로 박사 논문인 '대중매체의 확산과 한국현대미술: 1980-1997'을 비롯하여 동시대 예술의 변화 양상과 사회적 역할에 대한 고찰,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양상에 대한 연구를 진행 중이다. 저서로는 “이미지 시대의 매체 vs. 미디어”(2018, 현실문화연구), 공저로 “한국미술다시 보기 3: 1990~2008”(2022, 현실문화연구), “라디오 모양의 다리미, 다리미 모양의 주전자, 주전자 모양의 라디오” (2024, 워크룸프레스) 등이 있다.
장선희
장선희는 현재 홍익대학교 연구교수로 재직 중이며, 홍익대학교 예술학과에서 학사와 석사학위를, 일리노이대학교 미술사학과에서 석사와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네바다대학교 미술대학 전임교수로 재직했으며, 국립현대미술관(서울) 및 아트선재센터에서 큐레이터로 활동했고, 독일 ZKM의 아시아 현대미술전 전시팀장을 역임했다. 동시대 미술에서의 기후변화, 탈진실, 세계화의 역사재현에 관심을 두며 국내외 다수의 저널을 출판했다. 또 Art as Adventure: Going Beyond(케임브리지 스칼라 출판사, 영국, 2017), 『미술관은 무엇을 수집하는가』(국립현대미술관, 2019), 『미술관은 무엇을 움직이는가: 미술과 민주주의』(국립현대미술관, 2020) 등의 공동연구서를 기획, 집필했다.
이민아
이민아는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2023–2025)를 거쳐, 현재 서울시립 서서울미술관에서 학예연구사로 재직 중이다. 시각예술 및 다양한 매체를 통해 드러나는 사회적 이슈에 주목하며, 동시대의 문화적 맥락을 반영한 비판적 예술 실천과 그 방법론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기획한 전시로는《MMCA 사진 소장품전: 당신의 세상은 지금 몇 시?》(국립현대미술관, 2024), 《뉴미디어 소장품 기획전: 불합리한 환상극》(국립현대미술관, 2020–2021) 등이 있다.
김신재
주로 시간 기반 프로젝트를 기획하고 제작에 동행한다. 얽힌 감각과 물질 사이를 번역하는 예술 실천에 관심을 갖고 있다. 《오르트 구름》(아르코미술관, 2025), 《재난과 치유》 위성 프로젝트 〈반향하는 동사들〉(국립현대미술관, 2021) 등의 전시와 제23회 서울국제대안영상페스티벌 시네-미디어 큐레이팅 포럼 주제전 《장소의 감각, 물질의 그물》(KT&G상상마당, 2023), 상영 시리즈 《터치스크린》(ONEROOM, 2018) 등의 프로그램을 기획 또는 공동기획했고, 웹진 『비유』의 편집위원으로 참여하고 있다.
채영옥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신디 셔먼을 주제로 석사학위를 취득한 후, 한국예술종합학교 예술연구소의 “한국 근현대예술사 구술채록” 사업 연구원으로 활동했다. 이후 (주)로렌스 제프리스에서 독일 비타르 디자인 미술관의 한국 대표 기관 업무를 비롯해 송은 등 국내외 기관과 다수의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작가 연구, 아카이브 구축, 도슨트 교육을 담당했다. 2023년에는 ‘프레젠스(PRESENCE)’를 설립하여 예술·문화·브랜드의 가치를 전하는 커뮤니케이션 컨설팅과 이를 위한 전문 인력 교육 및 관리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에스파스 루이 비통 서울, 까르띠에 코리아, 송은, 플랫폼엘 컨템포러리 아트센터 등과 컨설팅 및 운영을 협력했으며, 현재 아틀리에 에르메스, 롯데뮤지엄의 파트너사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 참고자료: 실만 바넷, 『미술품 분석과 서술의 기초』, 김리나 옮김, 시공사, 2020.
흑표범
흑표범은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소수자 이슈에 접근하고 있다. 전남 도청 광장 분수대에서 펼친 샤워 퍼포먼스 <정오의 목욕>(2011), 세월호 유가족 어머니들의 목소리를 찻길 건너편의 관객들과 눈을 마주하고 함께 듣는 퍼포먼스 <VEGA>(2016) 등을 발표해왔다. <좀 다른 새>(에이라운지, 서울, 2025), <Spigel/반사!>(art house SomoS, 베를린, 2019)등의 개인전과 <불타는 집>(에스더쉬퍼, 서울, 2024), <바다는 가라앉지 않는다>(안산문화예술의 전당/보안여관, 안산/서울, 2019) 등의 그룹전을 가졌으며, 현재 광주시립미술관, 서울시립미술관에 작품이 소장되어 있다.
* 참고 사이트: www.black-jaguar.com
백기영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에서 회화를, 독일 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영상미디어를 전공하였다. (사)미술인회의 사무처장과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시각예술 다원예술 소위원을 거쳐 의재창작스튜디오와 커뮤니티 스페이스 리트머스 디렉터를 역임했다. 경기문화재단이 운영하는 경기창작센터와 경기도미술관 그리고 북부사무소에서 일하면서 예술가들을 위한 창작환경과 제도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해왔다.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 북서울미술관 운영부장으로 일했다. 현재 한국장애인문화예술원에서 2024년 새로 개관한 모두미술공간의 운영부장으로 일하고 있다.
참고자료: 로런스 브라이언, 『눈이 보이지 않는 친구와 예술을 보러가다』, 신형건 옮김, 책읽는곰, 2023.
○ 선발 안내
· 교육 수료 기준:
1) 총 10강 중 8강 이상 출석 필수
2) 강의 시작, 종료 시점에 출석부 서명으로 참석 확인
3) 20분 이상 지각∙조퇴∙외출 시 해당 회차는 출석 인정이 불가합니다.
· 선발 절차: 교육 수료자 중 아래 심사 과정을 거쳐 최종 선발됩니다.
1) 도슨트 스크립트 제출 및 심사
- 대상: 문화자원봉사 양성교육 1-10강 중 8강 이상 출석자
- 일정: 2025년 10월 10일(금)-10월 16일(목)
- 심사위원: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팀
2) 도슨트 시연 및 면접 심사
- 대상: 스크립트 심사 합격자 * 2025 이전 문화자원봉사 활동자는 시연 및 면접 심사 면제
- 일정: 2025년 10월 17일(금)-10월 28일(화), 개별 일정은 개별 연락
- 장소: 경기도미술관
- 심사위원: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팀
· 최종 합격자 발표 및 자격증명서 수여
- 일정: 2025년 10월 29일(수) 15시
- 내용: ‘2025 경기도미술관 문화자원봉사자 자격증명서’ 수여 및 활동 안내
· 도슨트 활동 시작: 2025년 11월 1일(토)-2026년 10월 (예정)
○ 필드 트립 안내
· 장소: 경기창작캠퍼스 (경기도미술관 집합 후 단체 이동)
· 일시: 10월 15일 (시간은 9월 상세 안내 예정)
· 참가비: 무료
· 목적: 안산 대부도에 위치한 경기창작캠퍼스에서 예술 창작 활동과 전시, 워크숍을 경험하고 예술과 지역문화에 대한 이해도를 높혀 봉사활동에 영감과 동기부여를 제공.
· 본 프로그램은 2025 문화자원봉사자 신청자와 2024 문화봉사자가 참여할 수 있습니다.
○ 활동 안내
· 전시 도슨트 활동
※ 경기도미술관 관람객 대상, 기획전시 주제의 자체 스크립트 작성
· 전시장 지킴이 활동
· 그 외 관람객서비스를 위해 학예연구팀에서 부여하는 활동
○ 문화자원봉사자 혜택
1. 전시 담당 학예연구사의 강의 및 전시장 투어 교육 제공
2. 신규 교육 외에 심화 교육 참여 기회 제공
3. 정기 간담회 및 워크숍 참여 기회 제공
4. 경기도미술관 전시 연계행사 참여 기회 제공
5. 문화자원봉사자 활동확인서 발급 (2개 이상 전시 참여 시 발급 가능)
○ 문의
경기도미술관 학예운영팀 ☎ 031-481-7031
이메일 문의: kihyunna@ggcf.or.kr
※ 교육 내용 및 일정은 미술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 기타 자세한 사항은 경기도미술관 홈페이지 및 SNS를 통해 별도 안내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