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 7월 민병헌

민병헌
몸 1
민병헌(1955-)은 우리나라에서 손에 꼽히는 중견 사진작가로, 부드럽고 은은한 회색톤의 사진으로 잘 알려져 있다. 어린 시절 아버지 카메라로 친구들을 찍어주었던 기억을 상기시켜 준 친구 덕에 사진을 시작한 민병헌은 고등학교 은사이자 한국 다큐멘터리 사진의 거장 홍순태(1934-2016)를 찾아가 본격적으로 사진 수업을 받았다. 1987년 개인전 《별거 아닌 풍경》은 그에게 가장 중요한 전시로, 이 전시를 기점으로 그의 사진이 주목받기 시작했다. 〈별거 아닌 풍경〉 연작은 우리가 매일 밟고 있는 땅바닥을 찍은 사진으로 현재까지도 그의 모든 작업의 근간이 되고 있다. 그의 사진적 대상은 작고 의미 없고 별거 아닌 것들, 이를 테면 땅바닥, 돌멩이, 풀잎처럼 사소하고 어디에서나 볼 수 있는 것들이다. “자유롭게 사물을 바라볼 때 사물은 전혀 다른 모습으로 다가온다. 그래서 나는 사진을 ‘눈’이라고 말하고 싶어진다.”라고 말한 작가는 눈비가 내리거나 자욱하게 안개가 껴서 흐린 날 새벽에 주로 사진을 찍는데, 흐린 날일수록 사물이 더 미세하게 보이고 색상과 빛의 섬세한 차이를 발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민병헌은 대상의 미묘한 질감과 세밀한 부분까지 놓치지 않기 위해 주로 4×5 대형카메라와 6×6 중형카메라로 작업을 하고, 대상에 일체의 조작을 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 재현하는 흑백 스트레이트 사진만을 고집한다. 콘트라스트를 최대한 억제해 디테일을 살리려다 보니 그의 작업에서 절대적으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인화’이다. 대상을 선택하고, 촬영하고, 인화하는 작업의 모든 과정을 혼자 수행하는 작가는 전통적인 사진 인화 방식인 ‘젤라틴 실버 프
린트’를 고집하며 절제와 균형을 잃지 않는다.
2000년부터 시작한 〈몸〉 연작은 서로 다른 두 몸이 겹쳐져서 이루어낸 인체의 풍경이라 할 수 있다. 모델들에게 특정한 포즈를 요구해서 얻은 사진이 아니라 작가가 모델들과 시간을 보내다가 문득 발견한 인체의 미묘한 접점을 사진으로 촬영한 것으로, 신체와 신체가 만나서 이루는 미묘한 경계, 신체와 신체 사이의 틈에 주목한다.
2001
젤라틴 실버 프린트
105×100cm

경기문화재단이 보유한 본 저작물은 “공공누리 제4유형 : 출처표시+상업적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단, 작품 사진의 경우 작품저작권자의 권리에 의해 보호를 받기 때문에 사용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문의 후 이용 바랍니다.
다른 소장품 보기